기사를 읽어드립니다
0

5~6세기 가야 북부 지역을 통합하면서 성장한 대가야의 흔적이 남아있는 경북 고령군이 ‘고도’(古都)가 됐다.
국가유산청은 ‘고도 보존 및 육성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을 일부 개정해 고령 대가야를 신규 고도로 지정했다고 18일 밝혔다. 고도는 과거 우리 민족의 정치·문화 중심지로 역사상 중요한 의미를 지닌 지역을 뜻한다.
지난 2004년 3월 ‘고도 보존에 관한 특별법’(현재 ‘고도 보존 및 육성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면서 경주, 부여, 공주, 익산 등 네 곳이 고도로 지정된 데 이어, 21년 만에 고령이 다섯번째 고도가 됐다. 고도 지정으로 지역 내 주거 환경이나 가로 경관 개선 사업을 지원받을 수 있고, 세계유산 탐방거점센터 건립과 유적을 활용한 역사문화공간 조성 사업도 추진할 수 있다.
광고
대가야는 고대 한반도에서 고구려·백제·신라에 버금갈 정도로 발전된 국가로, 5세기 후반에는 합천, 거창, 함양, 산청, 하동, 남원, 순천, 광양 등지까지 영역이 확장됐던 것으로 추정된다. 고령은 대가야의 정치·문화 중심지로, 대가야의 궁궐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궁성 터를 비롯해 왕궁을 방어하던 산성, 수로 교통 유적, 토기 가마 등이 남아있다. 수백기의 무덤이 모여있는 지산동 고분군은 대가야의 위상을 보여주는 유적으로 가치를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서정민 기자 westmin@hani.co.kr